[현장연결] 문대통령, 제 73주년 제주 4·3 희생자 추념사<br /><br />문재인 대통령이 제 73주년 제주 4·3 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했습니다.<br /><br />문 대통령의 추념사 함께 보시겠습니다.<br /><br />[문재인 / 대통령]<br /><br />존경하는 국민 여러분, 4·3 희생자와 유가족 여러분, 제주도민 여러분, 73주년 4·3 희생자 추념일 제주 전역에 봄비가 다녀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생존 희생자와 유가족들의 아픔이 비와 함께 씻겨가기를 진심으로 기원하며 이 자리에 섰습니다.<br /><br />국방부 장관과 경찰청장도 함께했습니다.<br /><br />정부에서 주관하는 공식 추념식 참석은 사상 처음입니다.<br /><br />당연히 해야 할 일이지만 첫걸음이니만큼 특별한 의미가 있습니다.<br /><br />군과 경찰의 진정성 있는 사죄의 마음을 희생자와 유가족, 제주도민들께서 포용과 화합의 마음으로 받아주시기 바랍니다.<br /><br />국가가 국가폭력의 역사를 더욱 깊이 반성하고 성찰하겠다는 마음입니다.<br /><br />유가족들의 아픔을 조금이나마 달래드릴 수 있기를 바라며 국민들과 함께 4·3 영령들의 안식을 기원합니다.<br /><br />오늘 4·3특별법의 개정을 보고드릴 수 있게 되어 매우 다행입니다.<br /><br />추가진상규명과 피해자의 명예회복, 국가폭력에 의한 희생자 지원 방안을 담았습니다.<br /><br />특별법 개정으로 이제 4·3은 자기 모습을 찾게 되었습니다.<br /><br />제주도민들이 겪어야 했던 참혹한 죽음과 이중, 삼중으로 옭아맨 구속들이 빠짐없이 밝혀질 때 좋은 나라를 꿈꿨던 제주도의 4·3은 비로소 제대로 된 역사의 자리를 되찾게 될 것입니다.<br /><br />이번에 개정된 특별법은 4·3이라는 역사의 집을 짓는 설계도입니다.<br /><br />아직 가야 할 길이 멀지만 정부는 4·3 영령들과 생존 희생자, 유가족과 국민의 염원을 담아 만든 설계도를 섬세하게 다듬고 성실하게 이행해 나갈 것을 약속드립니다.<br /><br />국민 여러분, 제주도민 여러분, 4·3에는 2개의 역사가 흐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국가폭력으로 국민의 생명과 인권을 유린한 우리 현대사 최대의 비극이 담긴 역사이며 평화와 인권을 향한 회복과 상생의 역사입니다.<br /><br />완전한 독립을 꿈꾸며 분단을 반대했다는 이유로 당시 국가권력은 제주도민에게 빨갱이, 폭동, 반란의 이름을 뒤집어씌워 무자비하게 탄압하고 죽음으로 몰고 갔습니다.<br /><br />피해자를 가해자로 둔갑시켰고 군부독재정권은 탄압과 연좌제를 동원해 피해자들이 목소리조차 낼 수 없게 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4·3은 대립과 아픔에 갇히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살아남은 제주도민들은 서로를 보듬고 돌보며 스스로의 힘으로 봄을 되찾기 위해 노력했습니다.<br /><br />화해의 정신으로 갈등을 해결하며 평화와 인권을 향해 쉼 없이 전진했습니다.<br /><br />가재도구조차 남김없이 모든 것을 잃은 사람들은 이웃마을의 도움으로 품삯을 얻어 생계를 이어나가고 목수를 빌려 새로 집을 지을 수 있었습니다.<br /><br />부모를 잃은 아이들은 가까운 친척과 이웃이 키우고 나무 하기, 밭 갈기, 제사와 결혼식, 학교 세우기 같은 큰일은 마을이 함께 힘을 모아 치렀습니다.<br /><br />육지로 떠난 이들도 심지어 타국으로 떠난 이들도 물건과 돈을 보내 고향 사람들을 도왔습니다.<br /><br />상생의 정신으로 서로를 일으켜세웠고 마침내 4·3의 진실을 깨울 수 있었습니다.<br /><br />반세기 만에 금기를 풀고 김대중 정부에서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의 초석을 다질 수 있었던 것은 용기를 낸 정의의 행동이 지속되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2003년 노무현 정부가 정부 차원의 진상조사보고서를 확정하고 대통령으로서 최초로 과거 국가권력의 잘못에 대해 유족과 제주도민에게 공식 사과할 수 있었던 것도 그리고 우리 정부에서 4·3의 진실에 더 다가갈 수 있었던 것도 오랜 세월 흔들림 없이 이웃과 함께하며 한 걸음, 한 걸음 나아간 제주도민들과 국민들이 계셨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이번 4·3특별법의 개정 역시 4·3을 역사의 제자리에 바로 세우기 위해 모든 산 자들이 서로 손을 잡았기에 할 수 있었습니다.<br /><br />제주도, 제주도의회, 제주도교육청을 포함한 124개 기관과 단체, 종교계, 학생, 정당을 비롯하여 다양한 분야의 제주도민들이 한마음 한뜻으로 4·3특별법 개정 쟁취를 위한 공동행동을 출범시켜 힘을 모았습니다.<br /><br />전국시도지사협의회, 전국시도의회의장단협의회,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가 특별법 개정에 한 목소리를 냈고 전국 곳곳의 시도의회에서도 각각 촉구결의안을 채택해 제주도민의 염원을 이루는 데 힘을 보탰습니다.<br /><br />국회도 여야 없이 힘을 모았습니다.<br /><br />4·3특별법 개정이 여야 합의로 이뤄진 것은 21대 국회의 가장 큰 성과 중 하나로 평가받게 될 것입니다.<br /><br />이 자리를 빌려 특별법 개정에 힘을 모아주신 각계각층 모든 분들께 깊은 감사와 존경의 인사를 올립니다.<br /><br />국민 여러분, 제주도민 여러분, 이번 특별법 개정으로 1948년과 1949년 당시 군법회의로 수형인이 되었던 2,530분이 일괄 재심으로 명예를 회복할 길이 열렸습니다.<br /><br />이미 2019년과 작년 두 차례의 재심을 통해 생존 군법회의 수형인 25분이 무죄선고를 받고 70년 세월 덧씌워진 굴레를 벗으신 바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달 16일에는 행방불명 수형인 333분과 일반 재판 생존 수형인 두 분이 재심 재판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습니다.<br /><br />살인적 취조와 고문을 받은 지 이름만 호명하는 재판 절차를 거쳐 죄인의 낙인이 찍힌 채 살아온 70여 년.<br /><br />어린 소년들이 90살 넘은 할아버지가 되어서야 비로소 무죄라는 두 글자를 받아 안게 되었습니다.<br /><br />가족을 잃고 명예와 존엄, 고향과 꿈을 빼앗긴 2,162분의 특별 재심이 아직 남아 있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한 분, 한 분의 진실규명과 명예회복, 배상과 보상을 통해 국가폭력에 빼앗긴 것들을 조금이나마 돌려드리는 것으로 국가의 책임을 다해 나갈 것입니다.<br /><br />그 무엇으로도 지나간 설움을 다 풀어낼 수 없겠지만 정부는 추가 진상조사는 물론 수형인 명예회복을 위한 후속조치에도 만전을 기하겠습니다.<br /><br />배상과 보상에 있어서도 공정하고 합리적인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.<br /><br />지금도 행방불명된 가족을 찾지 못해 애태우는 유가족이 많습니다.<br /><br />며칠 전 가시리에서 유해를 발굴한 세 분을 포함해 지금까지 유해로 돌아오신 418분 중 275분은 아직까지 신원을 확인하지 못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유해발굴사업과 함께 유전자 감식을 지원하...